주식 물타기란? 물타기 전략이 과연 좋은것일까?
제테크/주식2020. 4. 28. 22:49Table of Contents
반응형
물타기란?
물타기란 간단하게 말해서, 내가 구매한 단가를 낮추기 위해 하락하면 추가 매수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서, 10,000원짜리 주가를 10주를 매수했을 때 주가가 하락하여 8000원이 되었다. 이때 10주를 추가 매수한다면 내가 매수한 평균단가는 (10,000 * 10 + 8,000 * 10) / 20 = 9,000원이 된다.
물타기를 하는것이 과연 좋은 전략일까?
물타기를 하면 평균 단가를 낮출 수도 있고 좋아 보인다.
그런데 주로 개인투자자들이 물타기 때문에 더 큰 손실을 보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 이유는 주가의 저점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기 때문이다.
저점을 모르기 때문에 주가가 하락하면 계속해서 추가 매수를 하게 된다. 또한, 계속해서 구매하면 총금액이 커지면서 물타기를 하기도 힘들어진다.
물타기를 하여 평균 단가를 낮추는 것이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
`주식` 관련 글 읽어보기
반응형
'제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투자] 메타버스와 메타버스 관련주 (0) | 2021.07.05 |
---|---|
배당금이란? 내가 가진 배당금의 지급일 알아보는 방법 (0) | 2020.05.06 |
펀드 클래스 이해하기 (선취, 후취 수수료 차이) (0) | 2020.04.27 |
주식 BEP 단가가 무슨 뜻인가? (손익 분기점 BEP) (0) | 2020.04.22 |
레버리지란 무엇인가? 쉽게 이해하기 (레버리지 효과) (0) | 2020.04.22 |
@_모구 :: Notepad
모든것을 기록하는 노트장 블로그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